본문 바로가기

사업에 대한 기록

월 3천 쿠팡 온라인판매 아이템위너 마진 공개

반응형

4주만에 3천 찍고 싶었는데, 아쉽게 하루 넘겨서 29일만에 3천 찍었네요

앞에서도 말씀드렸지만 타사이트 구매 활용 아이템위너 판매로는 한계가 분명합니다.

마진이 턱없이 낮기 때문입니다.

마진에 대해서 가볍게만 터치하고 넘어가자면

한달 3천 판매하면서 개수는 438개 상품을 판매하였습니다.

평균 개당 68,000원 정도 하는 상품을 팔았다는 계산이 나오는데요

이런 상품들의 평균 마진은 어떻게 될가요?

 

우선 마진을 계산하는 방식을 적어보면

마진 = 판매가 - 매입가 -(판매가*수수료) - (판매가*수수료)*10% - (판매가 - 매입가)*10%

 

↑ ↑

VAT 붙고 일반사업자 부가가치세

보통 매입가와 수수료 빼는 것 까지는 아시는데

VAT와 부가가치세 까지 빼줘야 마진 식이 완성됩니다.

다만 여기서도 빠진게 종소세인데 그건 전체로 계산을 해버리니 추가로 빠지는 세금이 있다는 것만 알아두고 넘어가죠.

우선 저는 판매를 22.12월에 했기 때문에 23년 현재도 간이로 남아있기 때문에

일반사업자 부가가치세인 10%가 적용되지 않고

매출세액의 1.5~4% 적용된다고 합니다.

사실 이 부분이 중요한데, 시작 1년은 그래도 돈 만지게 해드릴게요! 라고 보일 수 있는데

매출세액을 초과한 매입세액에 대해 환급이 안되는 단점이 있다는 점..

간이과세자의 장단점에 대해선 나중에 한번 더 알아보고

우선 어짜피 일반사업자로 넘어갈거니 부가세 10%로 마진 계산 해보겠습니다.

 

결과적으로 3,000만원 판매해서 얻은 마진은 230만원. 7.7% 정도 되네요.

간이과세로 어느정도 세금이 나갈진 정확하겐 모르겠지만

부가가치세에서 반정도만 오른다는 가정하에도 해봤자 마진은 270만원정도. 9%네요.

 

저는 참고로 아이템위너 방식으로 돈을 벌 목적은 없었기 때문에 이 200만원이 넘는 수익은 온전히 다시

교육 또는 타 방식으로 재투자를 진행코자 합니다.

모든 아이템위너 방식이 저처럼 저마진이 나오진 않을겁니다.

예를 들면 간이사업자 유지하면서 월 매출 600 기준으로 마진 20% 먹으면

세컨잡으로 120 버는건 나쁘지 않은 부수입이니깐요.

할 수 있습니다. 누구나.

다만, 저의 길은 이쪽이 아니기에.

전 이미 판매자의 길을 걷기로 결심하였기에

너무 턱없이 낮은 이 마진을 어떻게 개선해볼까에 대해서 고민을 하였습니다.

그래서 최근 다가오는 봄을 타겟으로 하는 상품 직접위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봄에 팔릴만한 상품에 대해서 찾아보고, 매출을 명함삼아 직접위탁 제안을 하고 있다는 말입니다.

봄에 잘 팔릴만한 상품 찾기, 제조사 찾기, 번호 찾기, 연락하기, 사업 제안하기 등등

하루에 3곳 정도씩 꾸준히 하다보면 이런 마진을 개선시킬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당연히 기존 아이템위너 방식으로 깔아놓은 상품은 관리 차원으로 들어가게 되고

추가 발굴은 힘들것 같긴 하지만서도요.

직접위탁에서 불문율이 있습니다.

제가 직접위탁 할 수 있는 구매가는 최소 40%가 되야 한다는 것.

판매가가 만원이라면 적어도 6천원 이하로 받아와야 된다는 의미입니다.

이런 업체들과 협업하여 조만간 직접위탁 썰도 풀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하다보면 뭔가 되겠죠. 하려 하는 사람에겐 뭔가 붙을 겁니다.

자, 그러면 오늘도 레츠그릿!!!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