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에 대한 기록

(32)
중국의 한국비자 발급 추진 (중국 관련주식 호재?) 우리가 몇일전에 중국입국자 비자 풀어주니 ​ 중국도 즉시 비자발급 풀어주네 ​ 그러면 단기호재로 인식되겠지? ​ ​ 끄떡없네? ​ 이것마저 선반영되었다는 판단이거나​ (이미 한두달전부터 이것때문에 올렸어~ 응 변함없어) ​ 주식은 미래반영인데 이 패러다임이 바꼈거나​ (패러다임 자체가 바뀔 순 없어도, 입국자 숫자가 찍혀야만 들어간다는 심리가 반영되었다거나) ​ 아니면 코스피 무너지는거에 묻혔다거나​ ​ ​ ​ ​ 근데 BM 자체가 무너지지 않는이상 ​ 실적 정상화는 정상적인 미래인데 ​ 언제 반영이 될꼬~~~ ​ ​ ​ ​ 나는 그저 매수버튼을 누를뿐이고 ​ 시간은 나의편이 되어줄 것 같은데?
열등감이란 것이 폭발한다 (3개월 평가손익 포함) 3개월간 5700정도 평가손익이 났다 ​ 그간 뭘했냐고? ​ 한게 없다 기다렸다 ​ 아아 조금씩 추가 매수를 하긴 했지 ​ 다만 매수 볼륨자체가 보유주식에 비해 한없이 작아서 ​ 영향을 거의 못끼칠 정도였다. ​ ​ ​ ​ 열등감이란 것이 폭발한다. ​ 사업을 좀더 전에 시작해서 ​ 현금흐름이란 것을 세팅해놨다면 23년이 아주 기대될텐데 라는 생각부터 ​ 현금 비중을 좀더 마지막까지 지켰다면 이라는 쓸모없는 후회까지 ​ ​ ​ ​ 이런 열등감이 날 움직이게 한다 ​ 남들이 쉴때 뭐라도 해서 ​ 좋은 자산을 하나라도 더 갖고자.. ​ ​ ​ ​ 내 자신이 가진게 없다는 객관적 판단으로 ​ 더 날뛰어야겠다는 생각으로 ​ 오늘도 어떻게 돈을 벌지 고민한다 ​ 난 열등감을 에너지 원동력으로 사용하고 있다 ​ 현..
23년 코스피 전망 하워드막스의 "투자에 대한 생각" 책 중간에 ​ 이런 문구가 나온다 ​ 오랜 주식시장에서 살아남으면서 느낀 것은 ​ 대부분의 것들은 주기적으로 움직인다는 것 ​ 그리고 이 원칙을 다르게 해석했을때 큰 수익/손실이 다가온다는 것. ​ ​ ​ ​ ​ 이 말을 우리시장에 접목시키자면 ​ 코스피는 22년 -20퍼가 넘게 하락했다. ​ 이것이 23년에도 이어질까?? ​ ​ 데이터상으로 최근 20년간 2년연속 하락한 적은 없었으며, ​ 막스형의 말을 빌리자면 주기적으로 오르락 내리락 한다고 하였고, ​ 주식이란 것이 미래를 반영하는 것이기에 실물경제의 바닥을 찍었다고 판단된다면 실적이 아무리 안좋아도 주가는 올라갈 수 있는 것이므로 ​ ​ ​ ​ 즉 23년엔 경제가 안좋아도 주가 자체는 좋을수도 있다 ​ 다만, 과..
배당락일에 오히려 오르네 -.-b ​ 코스피가 배당락과 외국장 하락에 힘입어 ​ 2300아래로 살포시 내려옴 ​ 어느샌가 2300도 낯설지 않은 숫자가 되어버림 ​ ​ ​ 그런데 이런 시장속에서도 활활 타오르는 녀석들이 있었네 하고 보니​ ​ ​ ​ 아아, 생건은 나도 가지고 있지만 ​ 중국시장 설레발은 아직 시기상조인데 ​ 뭐, 미래를 예측하는게 시장이니깐.. ​ ​ ​ 지켜봐야하는건 역시 숫자 ​ 중국인들의 국내 국외 쇼핑들이 돌아온다면 ​ 어느정도의 숫자가 찍힐까? ​ 보복소비라는 말이 신문 1면에 실릴정도가 될까? ​ 아니면 뉴노멀로 현재상황이 굳어질까?? ​ ​ ​ 우리가 트래킹할 수 있는건 ​ 1. 중국 온라인몰에서의 생건 화장품 순위 ​ 2. 광군제 등등에서의 순위 (매출은 다 떨어졌다면 의미없지) ​ 3. 중국인 입국자수 ..
기업에 대한 재평가 시즌이 온다 (오박사님 유튭 포함) 18년도 사촌형님의 추천으로 오박사님의 여러 강의를 듣고있는 그릿남과장입니다:) ​ ​ https://youtu.be/wz_2Y1VFSxw 오랫만에 오박사님이 유튭을 올려주셨네요. ​ ​ 유튭 내용 요약 : 돈을 얼마나 잘 벌고, 얼마나 가지고 있는가에 대해 재평가가 이뤄질 시기가 왔다. ​ 기업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질 시기가 온 것 같다. ​ 기업을 평가할때(= 주식 가격이 형성될 때) 기존에는 매출/영익 위주로 판단을 하였다면, ​ 1. 돈을 얼마나 잘 벌고있는지 >> 이것은 기업의 목적이기때문에 평가절하를 할 수 없는, 절대 수치이고 (매출/영익 우상향하면 다른 요소 재껴놓고 주가가 오를 확률이 높은 것이고) ​ 2. 현금을 얼마나 빌렸는가 / 현금을 얼마나 파킹해놓고 있는가 >> 이 항목은 가치주..
엔씨소프트 4분기 예상매출/영익은?? ('23년 주가예측??) 초딩때부터 리니지를 해왔지만, 거하게 물려있는 그릿남과장입니다:) ​ ​ 현재 리니지 M / 2M / 오딘 / W 순으로 매출이 나오고있네요 ​ 단순 순위만 보여주는거라 예상의 영역이지만, 계속 추적을 해보니 대략 ​ 보통 1위는 20억 중반~30억 2위는 10억 중반 3위는 10억 수준 4위는 10억 미만 ​ 정도로 일 평균 매출이 나왔었음​ ​ ​ '22.1~3분기 지나오면서 매출/일 흐름을 보자면 ​ 근데 이젠 리니지M이 꺽은걸 보니,, M이 올라갔다기 보다는 W가 낮아진 걸로 보이는데.. ​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리니지 W는 41억 → 25억 → 22억 → 10억 중반? 리니지 M은 13억 15억 10억 10억 중반? 리니지 2m은 14억 10억 9억 10억? ​ ​ ​ 이정..
경기동향지수란 무엇일까? (+경기선행지수) 경제금융용어 공부하는 그릿남과장입니다 :) ​ 오늘은 경기동향지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경기동향지수란..? 경기동향지수는 사전적 의미로 "복잡한 경제활동 전체를 '경기'로서 파악하기 위해 제품/자금/노동 등에 관한 많은 통계를 정리/통합해서 작성한 지수" 라고 한다. ​ 쉽게 말하자면 경제라는 것이 수만가지로 돌아가고 있는데, 이를 종합해서 현재 경기가 좋은지 나쁜지 보여주는 지수라고 생각하면 됨. ​ 경기의 방향성을 알고 싶을때 참고하는 지수임. (좋아지고 있다~ 또는 나빠지고 있다) ​ ​ ​ 경기를 구성하는 항목이 10개임 (실질수출액, 실질수입액, 전력사용량 등 실제로도 10가지임) ​ 기준 점수는 100점으로, ​ 그래서 우린 경기좋을때는 100 이상의 점수를, 경기가 나빠지고 있으면 100..
아바타2 관련주 열광에 대한 생각 (아바타2 개봉일 포함) 아바타2가 '22.12.14일에 개봉한다는 소식과 함께 연일 여기저기서 아바타2 관련주가 회사안에서도 시끌.. 신문에서도,, 네이버에서도,, 시끌 거리고 있다 ​ 우선 왜 아바타가 이렇게 이슈냐 부터 알아보자 아바타 기존 작품은 2009년 개봉당시 1333만명을 기록하고, 전세계 박스오피스 1위한 어마어마한 영화이기 때문이다. 또한 3D영화의 시초가 되는 작품이기도 하였고. 2009년 당시에도 관련 주식이 올랐었다고 하여, 요번에도 재미없는 시장 속에서 이슈를 찾아다니는 사냥꾼들이 이슈를 몰고온 것 같다. ​ 2009년엔 CGV는 물론이거니와 3D관련주로 케이디씨, 현대아이티, 아이스테이션, 잘만테크 등은 몇배이상 오르기도 하였다. ​ ​ ​ 할건 아니지만, 관련주가 뭐가 있는지 알아보자 아바타2 소식은..

반응형